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백준 14499번: 주사위 굴리기 (python, 파이썬)

by 블쭌 2020. 10. 14.
728x90
  • 문제

크기가 N×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 3인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놓여져 있는 곳의 좌표는 (x, y) 이다. 가장 처음에 주사위에는 모든 면에 0이 적혀져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 주사위를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와 이동시키는 명령이 주어졌을 때, 주사위가 이동했을 때 마다 상단에 쓰여 있는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주사위는 지도의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 입력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에 쓰여 있는 수가 북쪽부터 남쪽으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주사위를 놓은 칸에 쓰여 있는 수는 항상 0이다. 지도의 각 칸에 쓰여 있는 수는 10을 넘지 않는 자연수 또는 0이다.

마지막 줄에는 이동하는 명령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동쪽은 1, 서쪽은 2, 북쪽은 3, 남쪽은 4로 주어진다.

 


  • 출력

이동할 때마다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 있는 수를 출력한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 코드
# 위치 바꿔주기
def change_lst(lst, num):
    lst2 = []
    east = [4, 2, 1, 6, 5, 3]
    west = [3, 2, 6, 1, 5, 4]
    north = [5, 1, 3, 4, 6, 2]
    south = [2, 6, 3, 4, 1, 5]
    dic = {1: east, 2: west, 3: north, 4: south}
    for j in range(6):
        lst2.insert(j, lst[dic[num][j]-1])
    return lst2

# 초기 주사위 값
lst = [0]*6
n, m, x, y, k = map(int, input().split(' '))

figure = []
for i in range(n):
    figure.append(list(map(int, input().split(' '))))

for i in list(map(int, input().split(' '))):
    # 동쪽으로 이동
    if i == 1 and y+1 < m:
        y += 1
    # 서쪽으로 이동
    elif i == 2 and y-1 > -1:
        y -= 1
    # 북쪽으로 이동
    elif i == 3 and x-1 > -1:
        x -= 1
    # 남쪽으로 이동
    elif i == 4 and x+1 < n:
        x += 1
    # 이동을 못했다면 다음 for문으로 넘어가기
    else:
        continue

    lst = change_lst(lst, i)

    # 지도의 값이 0일때
    if figure[x][y] != 0:
        lst[5] = figure[x][y]
        figure[x][y] = 0
    # 지도의 값이 0이 아닐때
    else:
        figure[x][y] = lst[5]
    print(lst[0])

문제에서 1의 위치가 주사위 윗면이라고 했다는 것을 생각해본다

[1, 2, 3, 4, 5, 6] 이라는것은 주사위 윗면 1, 밑면 6, 오른쪽 옆면 3, 왼쪽 옆면 4, 뒷쪽 옆면 2, 앞쪽 옆면 5이다.

주사위를 동서남북 방향으로 회전했을때 각 면들의 값이 어디로 이동하는지 파악한다

 

예를들어 east = [4, 2, 1, 6, 5, 3]라는 것은 동쪽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기존의 왼쪽 옆면 4였던 값이 동쪽으로 회전했기 때문에 윗면으로 바뀌기 때문에 첫번째 ndex로 등장한것이다.

기존의 오른쪽 옆면 3이었던 값이 동쪽으로 회전했기 때문에 아랫면으로 바뀌기 때문에 마지막 5번째 index로 등장한 것이다.

윗면 아랫면을 예를 든것이 우리는 윗면과 아랫면에 집중하면 되기 때문이다.

주사위를 굴리면서 list에서 맨 마지막 index의 값이 밑면이기 때문에 값을 수정해주고 맨 첫번째 index값이 윗면이기 때문에 출력하면 된다.


  • 출처

www.acmicpc.net/problem/14499

728x90

댓글